- ‘자료’는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값(value)이나 사실(fact)입니다.
- ‘정보’는 어떤 상황에 대해서 적절한 의사결정(decision)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knowledge)으로서 자료의 유효한 해설(interpretation)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relationship)를 표현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정보’는 어떠한 상황에 적절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거나 분류되기 위해 ‘처리 과정’을 거쳐서 정리되고 정돈된 ‘자료’의 2차 처리 결과물이다. 정보는 자료를 처리(process)해서 얻어진 유용한 결과(result)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자료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추상화가 필요하며 추상화를 통해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한 것을 자료구조(data structure)라고 합니다.
- 알고리즘이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의 유한 집합이 사람의 머릿속에 추상화되어 존재하는 것 입니다.
- 자료의 추상화와 구조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면 소프트웨어는 비효율적으로 수행되거나 소프트웨어의 확장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추상화란 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 자료구조는 입력값의 추상화된 상태라면, 알고리즘은 컴퓨터가 수행해야할 명령의 추상화입니다.
- ‘미리 정의된 자료구조’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는 개발자에 의해 정의되고 추상화되었고, 이를 컴퓨터내부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형태로 구현된 자료구조를 의미합니다.
- ’미리 정의된 자료구조‘는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자가 프로그램 개발자를 위해 미리 정의하지만, ’사용자 정의 자료구조‘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자신의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로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하는 자료구조입니다.
-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어야 할 조건들 ① 출력, ② 유효성, ③ 입력, ④ 명확성, ⑤ 유한성 등이 있습니다.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추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performance analysis)을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가 실제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측정하여 알고리즘의의 성능을 측정(performance measurement)합니다.
2015년 6월 5일 금요일
자료구조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investment.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The company helps the people who control the market price manipu...
-
XE(제로보드) 내 게시판의 첨부용량 변경 ㅁ 개요 ↑ XE 구축시 초기 첨부파일 용량은 2M로 제한되어 있음에 데이터 자료실을 만들기 위해 용량을 명령어를 이용하여 추가 혹은 감소 시키도록 하고자 한다. ㅁ 구현 ↑ 처음 ...
-
일단 ssh 프로그램으로 apm 셋팅을 하려고 했으나 apt-get이 계속 파일 위치를 잡지 못했다. (404 not found....) 그래서 구글링 결과 apt의 리스트 변수 목록을 제거하고 새로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를 찾음 :)...
-
□ native modifier 는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자바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 transient modifier 는 객체가 직렬 화되는 과정에서 해당 필드가 저장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국정원의 댓글 공작을 지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