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백신 개발을 위한 안드로이드 젤리빈 루트킷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자료 조사 차 하는 거다. 뭐 사실 루트킷이 아직도 있을런지는 모르지만. 앱단 보다는 밑에단 크레킹이 더 쉬울 것 같아서.
루트킷(Rootkit)은 루트 권한을 획득한 공격자가 심어놓은 프로그램을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1994년 루트킷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루트 권한을 가진 공격자가 로그인 하는 사용자들의 암호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위조 프로그램들 및 그 프로그램을 숨기기 위한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명칭이었으나, 이 후 백도어 프로세스나 파일 등의 흔적을 관리자가 볼 수 없도록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명칭으로 굳어졌다. 루트킷은 펌웨어, 가상화 계층, 부트로더, 커널, 라이브러리 등 다양한 곳에서 작동할 수 있다.
Research of rootkit on android for vaccine
getting data from news
http://www.infoworld.com/d/security-central/security-researchers-demo-malicious-rootkit-google-android-755
http://www.geek.com/articles/mobile/defcon-hackers-release-android-rootkit-total-control-of-smartphone-possible-20100730
cannot find rootkit example yet.
Kernel History
http://en.wikipedia.org/wiki/Android_version_history
On June 27, 2012, at the Google I/O conference, Google announced Android 4.1 (Jelly Bean). Based on Linux kernel 3.1.10
kernel.org 2012/09/19's concurrent stable version 3.5.4
흠... 2.6까지 밖에 몰랐는데 벌써 3.5대구나...
이정도 버전이면 루트킷 찾을 필요도 없겠군. 구글링으로 kernel security 찾아봐도 별
나오는 것도 없고.
시간 나면 찾아 봐야겠다.
앱 단 크레킹에 집중해야지.
2012년 9월 19일 수요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investment.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The company helps the people who control the market price manipu...
-
XE(제로보드) 내 게시판의 첨부용량 변경 ㅁ 개요 ↑ XE 구축시 초기 첨부파일 용량은 2M로 제한되어 있음에 데이터 자료실을 만들기 위해 용량을 명령어를 이용하여 추가 혹은 감소 시키도록 하고자 한다. ㅁ 구현 ↑ 처음 ...
-
일단 ssh 프로그램으로 apm 셋팅을 하려고 했으나 apt-get이 계속 파일 위치를 잡지 못했다. (404 not found....) 그래서 구글링 결과 apt의 리스트 변수 목록을 제거하고 새로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를 찾음 :)...
-
□ native modifier 는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자바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 transient modifier 는 객체가 직렬 화되는 과정에서 해당 필드가 저장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국정원의 댓글 공작을 지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