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29일 금요일

삼성소프트웨어멤버십

십년 가까이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에 대한 이야기들을 듣고 질문도 받았다. 글로 남겨두면 같은 말을 해야 하는 시간이 절약 될 것 같아서 남기게 되었다.

우선, 난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 17기다. 궁금한 점을 하나씩 말해주고자 한다. 결론만 말하면 결국 케바케.

멤버십 학교 보고 뽑는다. 는 이야기를 들었다.


 일부는 맞다. 그리고 지역 멤버십마다 분위기가 다 다르다.

우수 회원은 면접관이 된다. 나는 면접관으로 있었고, 삼성전자 재직 중에도 면접관으로 갔었다. 합격은 절대평가가 아니다. TO라는 게 있다. TO는 한정되어 있고 사람을 평가한다는 것은 정말 어렵다는 것은 삼성도 알고 있다. 그래서 학교 보고 뽑는 것 25% 임베디드 20%(전자라서 그렇고, 이것은 그때그때 다르다.) 응용프로그래머 15% 등으로 정해진다. 면접관에게 전달이 된다. 그런데 이건 강제 사항이 아니다. 참고를 하라는 뜻이다. 수도권/경기도야 "서울대"가 짱이지만. 각 지역 대학은 이름도 잘 안 알려지고 순위를 모르는 경우가 있어서 학교 순위가 구두로 전달 된다. 그러나 이것보다 더 강한 것이 인맥이다. 이것 때문에 부패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컴퓨터 동아리 출신들이 많다. 합격될 만한 완벽한 프로젝트(심사위원들도 다 모르는 분야에 기존에 듣도보지도 못한 신기술, 거기 들어가는 데이터 구조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곁들인 멋진 프레젠테이션까지)를 가져와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같이 생활한 동아리 친구들이 멤버십에 있고, 심사 전 발표작을 받을 때 자치회에서 모두 논의가 된다. 아무리 봐도 평소 실력이 그 실력이 아닌 친구는 면접 날 완벽해도 떨어진다. 이것은 사실 형평성 논란이 많았는데 결론은 면접관 마음이다. 못해도 해당 날을 위해 열심히 준비해서 뽑히면 그것도 실력아닌가? 들어와서 열심히 할 수도 있는 것은 아닌가? 항상 자문했었다. 다른 사람 말 들으며, 후회하는 부분도 있다. 팀을 구성해 보면 사실 인성도 실력이라는 것을 믿게 되었고 후회가 좀 줄긴 했다. 서울 멤버십(신촌, 강남 등의 경우) 나 때는 거기 있던 친구가 단체 생활 잘 안 하고 개인 생활한다는 말을 들었다. 아무래도 삼성이 꼭 멤버십을 거치지 않아도 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서울대의 경우 연구실 교수님이나 입사한 박사님 추천받아서도 갈 수 있으니, 실력 있는 사람들을 만나러 멤버십을 가는 것뿐이라는 말이다. 이건 입사 후 확인한 사실인데, 서울대만 그런 것은 아니고 지방대의 경우에도 박사님들 중에 업무 성과가 잘 나오는 분들께는 해당 연구실에 똘똘한 친구 좀 추천해 달라고 인사과에서 부탁한다. 결국 스펙이란 반짝하는 것이 아니라 평소 행동 하나하나가 스펙이 된다고 생각한다.

삼성전자 입사를 위한 등용문?


이건 다 아는 사실이다. 서류와 기술 면접을 통과하는 것이 삼성전자 멤버십이기 때문에 인성 면접만 본다. SSAT 면제라서 좋다고 생각하겠지만 과제 잘 못하면 잘린다. 그래서 대부분 학점 포기하고 멤버십 프로젝트에만 매진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것 또 서울(신촌, 강남) 쪽은 좀 달랐다. 멤버십보다 학점을 우선 순위에 두는 경우가 많았다. 이 또한 케바케인 것이 관련해서 전국 자치회 모임에서 서울쪽은 실적은 없지 않느냐는 논쟁 후, 수년 뒤 신촌, 강남에서 각 종 대회에서 많은 수상을 했다는 기억이 있다. 
인성면접도 상반기의 경우 공채와 같이 경쟁하지만 하반기의 경우 TO는 100% 다. 즉 절대평가란 이야기. 그래서 입사가 쉬운 것인데 나 같은 경우 TO 무시했던 5명이랑 상반기 인성 면접 보러 갔다가 3명 떨어져서 삼성전자 입사를 못했다. 물론, 떨어진 3명 다 뛰어난 사람들이라 석사 밟고 사업하다가 삼성전자 연구소로 다시 입사한 케이스도 있고 사업해서 성공하신 분도 계신다.
 단순 입사를 위해 들어오는 경우도 많다. 난 부산 멤버십이었는데 부산에서는 부산대가 가장 커트라인이 높다. 그런데 내가 입사하던 해  혹은 그다음 해에 부산대 IT 관련학과 학생 중 삼성전자 붙은 사람은 멤버십 출신밖에 없었다. 지원 여부는 해당 학교 멤버십 인력을 통해 전해 들었는데, 그래서 입사의 등용문이라고 하는 가 보다. 

프로젝트 가져와서 프레젠테이션만 잘하면 된다?


이것은 지난 수년간의 멘티들과 최근에도 들었던 이야기이다. 이것은 면접관의 케바케이다.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해주는 말이 있다. 그렇게 라도 들어가 보라고, 그게 아니면 멤버십 없이 삼성전자 입사해 보라고 한다. 삼성전자 쉬운 회사 아니다. 그리고 면접관이 한 명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4명이 들어가는데 4명의 눈을 피한다는 것이 쉽지도 않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기억나는 면접 케이스가 2 케이스가 있다. 한 명은 자연어 처리를 구현했다고 해서 소스를 열어 보라고 하고 소스 설명을 시켰는데 오픈소스도 많고, 그것을 이해하고 쓴 것도 같지 않아서 떨어뜨렸던 친구다. 면접관 중 한 명이라도 C를 주면 무조건 떨어진다.

그러나 점수 수정은 가능하다. 면접관 관계자 분께 삼성에서 엄청 잘하는 친구의 동생이라는 말을 듣고 점수 수정 요구를 받았다. 들어보니 정말 실력자의 동생이었다. 실력자는 실력자고, 잘하는 사람은 잘 하는 사람이고, 동생은 그냥 동생이다. 이순신 장군 아들 이름 아는 사람 누구인가? 점수 수정 안 하고 떨어뜨리고 인간관계는 나빠졌다. 덕분에 면접관을 더 할 수 있었다.

또 기억나는 케이스는 7번 떨어진 친구이다. 

멤버십은 항상 최신 트렌드를 추구하기에 이미 썼던 프로젝트의 경우 쓰기 힘들다. 쓰는 경우가 있긴 하다. 정말 어려운 것을 만드는 연구실에서 해당 기술을 공개하지 않는 경우이다. 윈도 프로세스를 캡처해서 바로 PE 파일 포맷으로 만들어 주는 것 같은 경우이다. 또 라인트레이스의 경우에도 항상 지역대회에서 우승하는 연구실이 있다. (전국구 1등은 항상 카이스트지만, 얘네들도 기술 공개 안 해서 항상 1등) 그런 연구실에 들어간 인력이 들고 오는 임베디드 프로젝트의 경우 성능이 대단하다. 어쩔 수 없는 프로젝트가 많다. 어떤 친구는 공인인증서 해킹 프로젝트를 들고 와서 나중에 입사 후 내가 소스를 받았다. 작년까지 먹혔었다. 관련해서 SNS에 보안 관련 까는 글 올리고 나서 막히더라. (괜히 공개한 듯)

믓튼 이런 여러 케바케 중에 혼자서 했고, 항상 다른 프로젝트를 7번이나 들고 온 친구가 있었다. 7번이면 3년 반이다. 멤버십에 너무 들어오고 싶어서 2학년 때부터 도전했기에 졸업도 미루고 또 도전한 친구다. 게다가 그것을 PPT에 쓰지도 않았다. 면접관으로 들어가면 컴퓨터에 지원 횟수가 있다. 그래서 면접관이 물었던 것이다. 이런 친구는 태도 점수가 매우 높기에 회사에서 뽑아야 하는 인력으로 난 생각했다. 6개월마다 남들이 "와~"할 수준의 프로젝트를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연 도중 에러가 나서 앱이 죽었다. 이런 경우 무조건 탈락이지만 면접관들이 협의해서 다음 발표까지 디버깅을 하면 시연을 다시 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코어 쪽 문제였는지 디버깅이 안돼서 그다음 발표까지도 기다려 줬다. 너무도 열심히 디버깅을 하고 타이핑하는 속도만 봐도 코딩 연습을 엄청 한 것이 느껴졌다. 3번째 발표까지도 기다려 주겠다고 했는데, 면접자가 너무 고맙지만 그만두겠다고 했다. 우리는 모두 이해했다. 코어 쪽이 잘못된 거면 그 시간에 디버깅하기 힘들다. 사실 이런 케이스가 왕왕 있다. 3번째 지원은 많지만 7번째는 정말 드문 케이스다. 

인생이 힘들 때면 7번 도전했던 그 지원자를 떠올린다. 애절함을 바로 옆에서 보았었기에 추억을 떠올리면 가끔 눈물도 난다. 이런 사람이 있었기에 면접관으로 있는 동안 함부로 사람을 뽑을 수 없었다.

비록 면접관/지원자로 만났었지만 그 사람은 내 인생의 멘토가 되었다.

삼성 내에서의 파벌과 퍼포먼스


우선 구미는 멤버십 파벌이 심했다. "지방대 석사 나와서 2년 챙겨 먹었으면 그냥 조용히 계세요"란 말을 선배한테 해야 했을 정도로 술 먹이고 군대식 문화가 있었었다. 지금은 사라졌을 거라 믿지만 아니면 이 글을 참고해서 몇몇 사람들이 흐리는 물을 깨끗하게 했으면 한다. 내가 꼭 얼굴을 보고 싶었는데 못 만났으니... 수원은 없다. 그러나 꼭 팀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내는 사람이 있으면 멤버십 선배다. 회사도 알고 있어서 멤버십을 축소하긴 하지만 버리진 못하는 것이다. 반도체는 멤버십 파벌보다 학벌 파벌이 더하다. 하버드 같이 IVY 리그도 많은데 그런 파벌보다는 서울대 파벌이 있다. 파벌이 있어도 세계 최초를 계속 만들어 내니 쉬쉬한다. 학교가 이벤트 성으로 사람 뽑는(SW 인재 전형 같은) 이유가 정말 잘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아무래도 명문대를 가려고 하니까 파벌로 정체된 모두의 실력에 돌파구가 항상 있다. 스타가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언젠가 그 파벌도 깨지리라 생각된다. 파벌을 만드는 것은 사실 모두가 아니고 일부 부서장들이기 때문이다.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울타리가 있으면 밖은 어려워도 안은 따뜻하기에. 

그리고 수만 명이나 되는 개발 인력이 있는데 내가 겪은 경험이 절대적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모든 것이 케바케다. 퍼포먼스도 그렇고. 많진 않지만 그래도 꾸준히 회사를 바꾸는 나로서 삼성전자는 그런 부분에 많은 고민들을 한다. 그래서 여러 학교가 모여 있을 수 있는 것이다. SK 같은 기업과 삼성의 대졸 이상자 학교 조사해보면 SK는 SKY 비율이 아마 삼성과 비교할 수 없이 많을 것이라 예상한다. 뭐 확신이지만. 작년까지 지도했던 멘티도 SK는 SKY만 뽑는 걸로 유명한데. 그게 아니라고 하면서 고등학생 문제를 내더라. 결국 고등학교 때 공부 잘했던 친구들이 더 잘 푸는 문제... 역시 성추행범 서울대 강석진 교수처럼 지능적이다.

내가 보았던 가장 실력이 뛰어난 사람은 멤버십 출신이 아닌, 공채 출신이었다. 멤버십 출신 잘하는 선배들이 많았지만 정점에 있던 사람들은 삼성에 들어와 개발에 흥미를 느끼고 늘 못한다고 생각하며 10년 이상을 보낸 분들이 그 정점에 있었다. SKY도 아니었다. 괜히 삼성전자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보면 서울대 출신 숫자가 많지는 않지만 잘한다. 오히려 서울대 츌산운 학교를 안 따진다. 고민도 별로 없고 그냥 좋아하는 것을 찾아서 한다. 나도 딸애가 있지만 서울대를 갔으면 한다. 서울대가 표상이라서 그런 것은 아니고 서울대가 글로벌로 따지면 순위도 한참 뒤지만. 그래도 최고라는 곳의 뭔가 정점을 찍어보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서울대랑 항상 같이 거론되는 카이스트가 자살이 많은 이유도 그런 것 같다. 따져보면 우수하긴 하지만 자신들이 우수하다는 생각보다 더 주변에서 최고라고 항상 대하니 마음대로 할 것도 못하고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게 되는 것이다. 그냥 편하게 대하면 된다. 쓸데없이 어려운 이야기 꺼내지 말고... 그래서 술친구 중에 서울대가 많다. 난 지방대 출신인데 일말의 무시하는 부분 없이 논리적으로 맞으면 의견을 준중해준다. 속어로 찰지게 표현하면... "물론, 개소리하면 학교 구분 없이 까이는 거다."

이런 식의 생각은 대부분 깔려있다. 그리고 열심히 인생을 치열하게 산 사람일수록 더 인간미가 있다. 의사들을 보라 대체적으로 괜찮지 않은가? 물론, 수술실 간호사였던 와이프 말로는 아니긴 하지만. 아픈 사람을 낫게 하는 일이 쉬운 것도 아닌데 돈으로 모두 보상해 줄 수 없다.

파벌과 퍼포먼스는 케바케란 이야기를 다른 이야기들에 빗대어했다.

프로페셔널하게 살아야 할, 비지니스를 위해 만난 관계라면 실력 없이 파벌 형성하다가 다 같이 망하는 수가 있다. 조직이 케어할 수 있는 집단 실력이란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괜히 1명이 10000명을 먹여 살린다라는 말을 건희형이 한게 아니다.

이 정도면 평소 듣지 못하는 이야기를 들은 것 같다.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에이라고 무조건 삼성 입사만 하는게 아니다. IBM, 구글도 가고 창업도 하고 석사 진학도 하고, 책도 쓰고 그런다. 그리고 그에 걸맞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내용들이야 공식 페이지, 홍보, 수십년간 이어와 배출된 사람들에게 들을만한 내용들이니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다른 내용보다. 7번 지원한 지원자 파트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7번 넘어져도 다시 일어났을 그 지원자에게
항상 고마워 하고 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이렇게 스쳐 지나갔던 지원자도 삼성소프트웨어 멤버십의 방향성을 정하고 전통을 만든다. 멤버십은 그런 곳이다.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소가 20년 이상 이어져 오기 쉽지 않다는 것은 가르쳐 본 사람들은 다 알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국정원의 댓글 공작을 지탄합니다.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investment.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The company helps the people who control the market price mani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