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안되면, 경험상 떠오르는 경우는
1. 랜선이 빠졌거나.
2. UTP케이블(랜선)의 단자가 고장났거나.(랜선 만들 때 제대로 못 찝어서 고장 잘남)
3. 랜카드 고장이거나.
4. 랜 드라이버 제대로 설치 안되서 소프트웨어가 지원을 못하거나.
5. 방화벽에 막혔거나.
6. 인터넷 망 회사가 다운 되었거나.
7. 프락시나 기타 등등 SW 설정 잘못했거나.
8. DNS 안 먹거나...
흠 .. 이정도?
우선 진단법은 간단.
(윈도키+R 누르고 CMD)
도스창을 띄우서
IPCONFIG /ALL 을 쳐 본다.
물리적 고장이면 DISCONNETED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IP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본다.
잘 되어 있다면
GATEWAY에 PING을 때려본다.(게이트 웨이 주소는 IPCONFIG /ALL 했을 때 나온다)
PING 168.126.63.1
PING이 가면 게이트 웨이 까지 물리적 연결은 이상이 없다는 말이다.
그 다음.
nslookup 을 쳐본다.
DNS 서버의 주소를 못 읽어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KT DNS 주소: 168.126.63.1
로 바꾸어 주자.
NSLOOKUP naver.com 해서
ip를 읽어오면 DNS 서버도 정상 동작하는 것이다.
이정도만 해도 네트워크 연결은 대부분 okay.
사족 : 리눅스도 똑같다. ipconfig 대신에 ifconfig 이고 ping, nslookup은 같다.
과거의 리눅스의 경우는 iptalbes 문제(방화벽)가 대부분이었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investment.
UPBIT is a South Korean company, and people died of suicide cause of coin. The company helps the people who control the market price manipu...
-
XE(제로보드) 내 게시판의 첨부용량 변경 ㅁ 개요 ↑ XE 구축시 초기 첨부파일 용량은 2M로 제한되어 있음에 데이터 자료실을 만들기 위해 용량을 명령어를 이용하여 추가 혹은 감소 시키도록 하고자 한다. ㅁ 구현 ↑ 처음 ...
-
컴퓨터에 대해서 알기 어려운 내용들을 몇가지 말하려 한다. 이것은 내 주위의 사람들은 학교 컴퓨터를 사용한다고 너무도 쉽게 보고 다루는 것을 보았다. 그러지 말라의 의미에서 적어본다. 컴퓨터는 정전기에 약하다. 당연한 사실 아닌가? 정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국정원의 댓글 공작을 지탄합니다.